mobile background
mobile background

작  | 작점 | 계이 | 조이 | 가이 | 황이

유제(鍮製:놋쇠)로 만들며 나라에서 행하는 대,중,소사(大,中,小祀)와 궁중에서 쓰는 술잔을 한격 높여 작(爵)이라 부르며, 무게가 1근 8냥(一斤八兩)이요, 높이는 8촌 2푼(八寸二分)이며 깊이는 3촌 3푼(三寸三分)이고, 구경이 6촌 2푼(六寸二分), 너비(幅)는 2촌 9푼(二寸 九分)으로 천(天)·지(地)·인(人)의 원리에 따라 발이 셋이 있으며 양쪽 위로 기둥이 솟아있는데 한쪽은 용(龍)머리 모양으로 만들어졌으며 작구(爵口)는 안쪽 즉 입을 대고 마시는 쪽은 둥글고 반대쪽은 조금 뾰족하여 구분하기 쉽다.

대제(大祭) 때에 신주(神主) 한위 당 3개의 작이 올려지는데 처음작에는 예제(醴齊)가 담겨 올려지고, 두 번째 작엔 앙제(盎齊)요, 세 번째 작은 청주의 순으로 담겨져서 제상(祭床) 앞, 헌관이 보아 왼쪽 작판(爵版)부터 차례로 놓여진다.

작점

유제(鍮製)로 만들며 작판(爵版)이라 하기도 하며, 작을 올려놓는 받침으로 무게가 2근 9냥(二斤九兩)이고, 가로 세로 각 9초 2푼(九寸二分)의 정사각(正四角)의 네모진 판(版)으로 천원지방의 원리로 가운데에 원이 있어 작을 놓으면 움직이지 않게 되어 있다.


계이

유제(鍮製)로 만들며 술을 담는 술통으로 표면에 닭 모양이 새겨져 있으며 춘향(春享) 즉 봄제사에는 명수(明水)를 담고, 약제(禴祭) 즉 여름제사에는 울창주(鬱鬯酒)를 담아 쓴다. 닭은 동방(東方)의 생물(生物)이니 음(陰)에 속하며 인(仁)을 뜻하는 제기로 조이(鳥彛)와 한 쌍으로 사용한다. 울창주(鬱鬯酒)란 울금(鬱金)이라는 향초(香草)를 넣고 거(秬)라 하여 즉 검은 기장과 함께 빚은 술로 독특한 향내가 나며 검은빛이 나는 술로서 관지(灌地)를 하여 지하의 백(魄) 또는 신(神)을 모실 때 쓴다.

조이

유제(鍮製)로 만들며 술을 담는 술통으로 표면에 봉황새 모양이 그려져 있으며, 사제(祠祭) 즉 봄에 올리는 제향에는 울창주(鬱鬯酒)를 담고, 약제(禴祭) 즉 여름 제향에는 현주(玄酒)를 담아 쓰는 제기로 봉황새는 남방(南方)의 생물(生物)이라 양(陽)에 속하며 예(禮)를 뜻하는 제기로 계이(鷄彛)와 한 쌍으로 사용한다. 현주(玄酒)는 물의 별칭으로 명수(明水)로도 불리우며 물은 빛이 검게 보인다하여 현(玄)이라 하고 상고(上古) 시대는 술이 없이 선조의 제를 받드는 의식에 물을 썼던 것이 전래(傳來)가 되어온 것이 현주라 하게 되었으며 대제(大祭)에는 태고(太古)의 의례를 답습하여 지금도 서편에 술통과 나란히 놓여진다.

가이

유제(鍮製)로 만들며 술을 담는 술통으로 표면에 화가(禾稼:벼가 심겨진 그림)가 새겨졌으며 가을에는 현주(玄酒)를 담고, 겨울에는 울창주(鬱鬯酒)를 담아쓰는 제기로 화(禾)는 백색(白色)을 의미하여 음(陰)에 속하고 의(義)를 뜻하며 황이(黃彛)와 한 쌍으로 사용한다.


황이

유제(鍮製)로 만들며 술을 담는 술통으로 표면에 황금의 눈(目)을 새겨서 상제(嘗祭) 즉 가을에는 울창주(鬱鬯酒)를 담고 증제(烝祭) 즉 겨울에는 현주(玄酒)를 담아 쓰는 제기로 황(黃)은 중(中)으로 양(陽)에 속하며 지(智)를 뜻하고 가이(斝彛)와 한 쌍으로 사용된다.


Tel. 02-765-2124 | Fax. 02-742-1676 | rfo2124@naver.com
서울 종로구 돈화문로 89 이화회관 4층

© 2020 국가무형문화재 종묘제례보존회. All Rights Reserved.